인스타그램 수익,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네,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발생한 광고 수익, 협찬(PPL), 제휴마케팅 수익 등은
모두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분류되어 세금 신고 대상입니다.
수익을 얻는 순간, 세금 신고 의무도 함께 생기며
누락 시 가산세 부과 및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인스타 수익, 세금 신고 대상이 되는 수익 종류
✅ PPL(제품 협찬, 광고)
✅ 포스팅·스토리 대가 지급
✅ 링크 제휴마케팅 수익
✅ 디지털 굿즈 판매(리셀, 다운로드 링크)
📌 Tip:
현금 수익뿐만 아니라 현물 제공(예: 명품 가방 협찬)도 과세 대상입니다.
인스타 수익 세금 분류 기준
✅ 연간 수익 300만 원 이하 ➔ 기타소득 신고
✅ 연간 수익 300만 원 초과 ➔ 사업소득으로 신고
✅ 월 100만 원 이상 꾸준한 수익 ➔ 개인사업자 등록 권장
인스타 수익 세금 계산법
① 기타소득일 경우
(수익 - 필요경비 60%) × 소득세율
② 사업소득일 경우
(수익 - 실제 경비) × 소득세율 + 부가가치세(10%)
연간 소득금액적용 | 소득세율 |
1,200만 원 이하 | 6% |
1,200만 원 초과 ~ 4,600만 원 이하 | 15% |
4,6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 |
8,800만 원 초과 | 35% 이상 |
📌 참고:
광고 사진 촬영비, 편집비, 의상비용 등은 사업소득 신고 시 경비 처리 가능합니다.
인스타 수익 세금 계산기 사용 방법
정확한 세금 계산이 필요하다면
국세청 홈택스 '종합소득세 모의계산기'를 이용하세요.
- 국세청 홈택스 접속
- '모의계산' → '종합소득세 간편 계산' 메뉴 클릭
- 예상 수익 및 경비 입력 → 세액 자동 계산
📌 Tip:
연 소득이 많아질수록 미리 세금 계산하고, 자금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인스타 수익 신고 절차
1. 기타소득 신고 방법
- 5월 종합소득세 기간에 홈택스 통해 직접 신고
- 필요경비 60% 인정 후 소득세 납부
2. 사업소득 신고 방법
- 사업자 등록 후 연 2회 부가세 신고(1월, 7월)
-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 업종코드 추천: 58129 기타 광고대행업, 73110 마케팅 서비스업
인스타 수익 신고 예시
예시 1. 연간 수익 250만 원 (기타소득)
- 필요경비 60% 공제 후 100만 원 과세
- 소득세 6% 적용 → 약 6만 원 납부
예시 2. 월 300만 원 수익 (사업소득)
- 연 3,600만 원 수익 발생
- 경비 30% 인정 시 과세 대상 약 2,520만 원
- 소득세 15% 적용 → 약 37만 8천 원 납부 + 부가세 별도
인스타 수익 세금 신고 주의사항
✅ 인스타 수익 외에도 블로그, 유튜브 수익이 있다면 모두 합산 신고
✅ 광고 협찬받은 물품의 시가도 수익으로 환산해 신고해야 함
✅ 소득 누락 시, 무신고 가산세 20% + 납부지연 가산세 3% 추가 부담
📌 Tip:
현물 협찬도 과세 대상이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인스타 수익, 제대로 신고하면 미래가 열린다
인스타그램으로 수익을 얻기 시작했다면,
수익이 적든 많든 세금 관리를 제대로 하는 것이 장기적인 사업 운영의 핵심입니다.
초기에는 기타소득으로 신고하고,
꾸준한 수익 발생이 확인되면 빠르게 사업자 등록을 진행하세요!